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달러 투자하는 꿀팁 강달러 의미

by 쏭잉차 2024. 7. 18.
반응형

요즘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면서 달러 투자에 유입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달러 투자하는 꿀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썸네일

강달러의 의미

강달러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달러는 세계 기축통화이자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손꼽습니다. 세계 대부분의 통화는 달러 대비 가치가 왔다 갔다 합니다. 우리나라의 통화인 '원'도 마찬가지입니다.

 

원달러 환율에 따라 강달러가 되기도 하고, 달러가 약세로 돌아서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원달러 환율이 오른 경우는 원화와 달러 중 어떤 통화가 강세일까요?

 

예를 들어, 1달러=1,000원이었는데, 1달러=1,2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경우 원달러 환율이 오른 것이고, 원화의 가치는 떨어지고 달러의 가치는 올랐다는 의미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예전에는 미국 제품 10달러치를 사려면 10,000 원만 주면 되었는데, 현재는 환율이 올라서 똑같은 제품을 사려면 12,000원을 줘야 합니다. 그러니 원화의 가치가 떨어진 것이죠. 그러니 우리나라 수입업체는 부담이 되고, 수출업체는 좋아하겠죠?

반면 원달러 환율이 내려가면 어떤 상태일까요?

 

위 상황과 반대로 달러가 약세, 원화가 강세를 띄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수출 중심 구조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제는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반면 수입업체는 부담이 덜 하겠죠.

그렇다면 최근 강달러가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이 고금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세계 자금이 미국으로 많이 몰렸습니다. 그러다 보니 달러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이죠. 하지만 미국 입장에서는 달러 강세가 마냥 반갑지는 않습니다.

 

경상수지 적자는 물론 미국 수출기업에게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도널드 트럼트가 달러가 너무 고평가 되어 있다면서 다른 나라 통화의 가치를 높이려고 하는 조짐이 보입니다.

우리나라 달러환율 흐름

최근 우리나라는 원달러 환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2024년 7월 18일 기준 약 1,380원입니다. 원화가 강세였을 때 1,150원이었던 것과 비교해서는 꽤 높습니다. 

 

달러환율은 세계금융위기, 전쟁, 코로나 등 세계적인 이슈가 있을 때마다 많이 오르는 편입니다. 그래서 위기 속에서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자산이라고 불리는 것이죠.

 

달러는 통상 1,200원대 일 때 평균적인 수준이고, 그 이하인 경우 달러 투자하기 좋습니다.

달러 투자 꿀팁

달러 투자 꿀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식과 함께 투자하기

: 주식시장이 좋지 않으면 시장 경제 역시 안 좋아집니다. 그렇게 되면 원화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원달러 환율은 오릅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식을 투자할 때 달러도 함께 투자한다면 리스크를 방어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코로나 때 주식이 폭락하면서 -50% 이상 가치가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달러는 30% 이상 오르면서 자산 가치 하락을 어느 정도 보완해 줬습니다.

 

국내에서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했는데, 주가가 떨어졌지만 환율이 올라 실제로는 수익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은행 달러 예금&증권사 외화 RP

: 은행의 달러 예금과 증권사 외화 RP 투자를 통해  원달러 환율 변동성에 따른 시세 차익과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추세라면 수익이 받은 이자 금액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만기가 있어서 돈이 묶여있다는 단점이 있죠. 

 

최근 증권사 RP에서는 수시식 상품이 나와서 언제든 자유롭게 외화 RP를 매도할 수 있습니다. 단, 영업시간 안에만 매수, 매도 가능합니다.

3. 달러 ETF

: 달러 ETF는 증권사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앞서 달러 예금이나 외화 RP처럼 이자는 받을 수 없지만 만기가 없어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국달러선물로 검색해서 나오는 ETF를 매수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