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개인 •퇴직연금15 연금저축 IRP 연금 수령 방법 연금저축과 IRP 연금 수령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만 55세 이상이 되고, 계좌 개설한 지 5년 이상이면 연금 개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퇴직금이 들어오면 계좌 개설일과 상관없이 만 55세만 충족하면 바로 수령 가능합니다. 연금은 개인의 노후 대비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수령 방법 1- 금액 지정금액 지정 방식은 연금 수령 금액을 정해 놓고, 매월 정해진 금액만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필요한 생활비가 300만 원인데 공적 연금이 100만 원이 나온다면 200만 원만 연금저축펀드와 IRP로 수령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연금저축펀드에서 100만 원, IRP에서 100만 원을 지정해서 수령가능합니다. 이 방식으로 연금.. 2024. 9. 19. 디폴트 옵션 의미 운용 방식 알아보기 디폴트 옵션의 의미와 운용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디폴트 옵션이란?디폴트 옵션에서 먼저 '디폴트'에 대해 알아볼까요? 디폴트(default)란 '따로 설정하지 않은 기본값'을 의미합니다. 퇴직연금제도에도 디폴트가 생겼는데, 내 퇴직연금을 자동으로 투자해 주는 방식입니다. 디폴트 옵션은 2022년 7월에서 국내에 처음 시행된 제도로,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도입했습니다. '사전지정운용제도'라고도 하는데, 고객이 사전에 지정한 투자 방식대로 금융사(증권사, 은행)에서 고객 대신 퇴직연금을 관리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디폴트 옵션이 도입된 까닭그렇다면 왜 금융사에서 고객의 퇴직연금을 대신 굴려주는 디폴트 옵션이 도입되었을까요? 그건 바로 한국의 퇴직연금 수익률(1~2%)이 선진국에 비.. 2024. 8. 2. TDF 의미 특징 장점 투자 방법 알아보기 TDF의 의미, 특징, 장점, 투자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TDF의 의미 및 특징TDF(Target Date Fund)란 로 투자자의 은퇴시점을 목표로 투자자산과 안정적인 자산의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알아서 조절하여 운용하는 자산배분 펀드입니다. TDF 상품에는 펀드, 주식, 채권 등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이 담겨 있습니다. TDF는 나이가 어릴 때는 주식 등 위험자산의 비중이 높은 공격적인 포트폴리오로 운용하다가, 은퇴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위험 자산의 비중을 낮추고 채권 등 안정 자산의 비중을 높여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합니다.TDF의 장점TDF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의 간편함: TDF는 투자자가 신경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이 조정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합니다... 2024. 7. 17. 연금저축펀드 vs IRP 계좌 무엇부터 가입하는 게 좋을까?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 중 무엇부터 가입하는 게 좋을까요?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공통점연금저축펀드와 IRP 모두 연금상품으로 55세 이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두 상품은 국민의 노년 생활을 보장해 주기 위해 국가에서 저율 과세(3.3~5.5%)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연말정산 시에도 세액 공제(최대 16.5%)를 받을 수 있죠. 그렇다면 연금저축펀드와 IRP 중 어떤 상품을 먼저 채우면 좋을까요? 각 상품별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연금저축펀드 특징연금저축펀드는 소득이 없는 학생, 주부 등 누구나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소득 제한이 없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연말정산 세액 공제 한도가 연간 600만 원입니다. 만약 한도를 다 채운다면 소득 구간에 따라서 72만 9천 원~99만 원을 환.. 2024. 5. 24.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