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개인 •퇴직연금15

ISA 종류(중개형 신탁형 일임형) 차이점 ISA 계좌를 개설하려는데 중개형, 신탁형, 일임형 중에 무엇으로 가입해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ISA 종류(중개형, 신탁형, 일임형)에 대한 차이점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ISA 계좌란? ISA 계좌란 한 계좌에 여러 금융 상품(주식, 주식형 펀드 ETF, 리츠, 펀드, RP, 채권 등) 담을 수 있는 상품을 의미합니다. ISA 계좌는 만기 3년만 채우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죠. 일반형은 손익통산(수익+손실)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고,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도 9.9%라는 저율 과세가 적용됩니다. 연간 2천만 원까지 넣을 수 있으며, 올해 채우지 못한 한도는 내년으로 넘어갑니다. 즉, 올해 1천만 원만 넣었다 하면 다음 해에는 총 3천만 원까지 넣을 수 있는 .. 2024. 2. 1.
공무원 교사 퇴직금을 IRP 계좌로 받아야 하는 이유 공무원, 교사 정년퇴임하시는 분들이 퇴직금을 IRP 계좌로 받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IRP 계좌의 저율 과세, 건보료 제외 혜택을 이용하자 공무원, 교사분들은 재임기간(30년 이상)이 길어서 퇴직금에 대한 세금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일반 통장으로 퇴직금을 일시로 받는 경우가 많죠. 퇴직금을 IRP 계좌로 받으면 세금을 30% 줄여준다고 하지만 공무원, 교사 퇴직금은 세금이 없는데 굳이 IRP로 받아야 하는지 의문이 듭니다. 퇴직금을 일반 통장으로 받은 분들은 퇴직금을 어떻게 관리할까요? 아마 대부분이 은행 예금에 묶어 둘 것입니다. 그러면 예금 이자에 대한 세금을 15.4%로 내야 하고, 건보료 부과할 때 합산 대상(다른 금융상품이랑 퇴직금 예금 이자를 합해서 연간 1천만 원 초.. 2024. 1. 29.
KB 증권에서 연금저축 IRP 퇴직연금 한도 변경하는 방법 KB 증권에서 연금저축과 IRP(퇴직연금) 한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연금저축&IRP 한도 연금저축과 IRP 한도는 연간 총 1,800만 원입니다. 하지만 연금저축과 IRP 납입 한도는 개인 사정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납입한도를 연금저축 900만 원, IRP 900만 원으로 해도 되고, 나는 연금저축에 더 많이 투자하고 싶다 하는 분들은 연금저축 비중을 더 많이 늘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IRP 계좌만 있는데 연금저축 계좌도 만들고 싶다 하는 분들은 IRP 계좌 납입한도를 먼저 조정하신 후 연금저축계좌를 만드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IRP 계좌 납입 한도가 1,800만 원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그러면 새로 연금저축계좌를 만든다고 해도 납입한도가 0원이기 .. 2024. 1. 26.
연금저축 vs IRP 차이점 알아보기 연금저축계좌와 IRP계좌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두 상품 모두 과세 이연과 연말정산 혜택이 있어 노후 대비로 유용하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먼저, 각 계좌의 특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이란 다양한 펀드, ETF, 리츠 등을 자유롭게 운영하면서 세제혜택을 받고, 5년간 납입하면 만 55세 이후에는 연금형식으로 수령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연금저축은 누구나 가입 가능하며, 연 1,80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연간 600만 원까지는 기본공제가 되며, 중도 인출이 가능하답니다. 단, 세액 공제 대상은 중도 인출을 하는 경우 16.5% 지방소득세가 부과됩니다. 600만 원 초과 금액에 대해서는 세금 없이 출금 가능합니다. IRP란? IRP란 개인형 퇴직연금입니.. 2023. 11.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