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균등과 비례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공모주 균등배정 계산방법
공모주에서 균등은 증권사마다 배정된 물량에 따라 다릅니다. 균등배정이란 청약한 모든 사람에게 고르게 나눠주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증권사에 배정된 물량의 50%이 균등배정입니다. 균등배정 물량을 청약 건수(청약자 수)로 나누면 1인당 균등배정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량에 비해 청약자 수가 많다면 1주도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어떤 증권사의 균등배정 예상치가 0.8이라면 1주를 받을 수도 있고, 못 받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증권사마다 배정된 물량이 다르기 때문에 웬만하면 많이 배정된 주력 증권사로 청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는 경쟁이 덜 치열한 증권사로 청약을 넣는 것도 방법입니다.
공모주 비례배정 계산방법
공모주 비례배정은 균등배정을 제외한 나머지 50% 물량을 청약 증거금 액수에 비례해 나눠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돈을 많이 넣은 사람에게 주식을 더 많이 배정해 주는 것이죠.
예를 들어, 비례배정 청약 경쟁률이 521.41:1이라면 최소 522주를 청약해야 1주를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공모주 청약 단위는 1주 단위가 아닙니다.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50주 이상~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5,000주 이하 | 500주 |
5,000주 초과~10,000주 이하 | 1,000주 |
10,000주 초과 | 2,000주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522주가 포함된 구간인 500주 초과~1,000주 이하이므로 100주 단위로 넣어야 합니다. 그러면 최소 600주 이상은 넣어야 하죠.
비례배정 오사육입
비례배정에서 오사육입이란 청약한 물량을 비례배정 경쟁률로 나눴을 때 0.6 이상은 올리고, 0.6 미만은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소수점이 0.6 이상이면 배정받을 수 있는 것이죠.
예를 들어, 비례배정 물량이 1,500주이고, 경쟁률이 1321.31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즉 최소 1,322주를 넣어야 1주를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1,322주가 속한 구간으로 봤을 때, 500주 단위로 넣는 것을 고려하면 1,500주를 넣어야 합니다.
1,500주/1321.31=1.13이라서 1주 정도 배정받게 됩니다. 하지만 오사육입을 적용해 보면 1321.31*0.6=792.789입니다. 즉, 792.789주만 신청하면 됩니다. 이때 청약단위는 100주입니다.
그러면 800주만 넣어도 비례배정으로 1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소득세 VS 금융소득종합과세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4.06.25 |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0) | 2024.06.11 |
2024년 5월 공모주 청약 일정 (0) | 2024.05.01 |
주식 투자 종목 선정 기준③(시가 배당률 뉴스 공시 지분율 PBR) (1) | 2024.04.30 |
주식 투자 종목 선정 기준②(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매출채권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율) (0) | 2024.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