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연말정산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차이점 알아보기

by 쏭잉차 2023. 9. 14.
반응형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세금을 절감해 주는 방법에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썸네일
출처: 맘마이마 월급 재테크 실천법

 

 

소득공제란?

소득공제란 오랫동안 해온 방식으로, 소득금액을 줄여줌으로써 세금을 절감해 주는 방식입니다.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방식입니다.

 

단, 소득공제는 공제받는 금액에 개인별 한계세율을 곱하기 때문에 고소득자들이 더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란?

세액공제는 산출세액(과세표준*기본세율)에서 세금 자체를 절감해 주는 방식입니다. 즉, 세액에서 일정금액을 빼주는 방식입니다.

 

세액공제는 소득금액과 상관없고 개인별 한계세율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동일한 금액만큼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에 따른 기본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기본세율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72만원+1,200만원 초과금액의 15%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852만원+4,600만원 초과금액의 24%
8,800만원 초과 1.5억원 이하 1,590만원+8,800만원 초과금액의 35%
1.5억원 초과 3억원 이하 3,760만원+1.5억원 초과금액의 38%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9,460만원+3억원 초과금액의 40%
5억원 초과 1억 7,460만원+5억원 초과금액의 42%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무엇이 더 유리할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무엇이 더 유리할까요?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경우로 나눠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모두 동일 금액 200만 원을 소득공제받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저소득층은 한계세율 6%(예시)를 적용받아 12만 원을 공제받을 수 있고, 고소득층은 한계세율 38%9(예시)를 적용받아 76만 원을 공제받게 됩니다.

 

반면, 세액공제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세액공제는 소득에 상관없이 동일한 공제율이 적용되므로,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모두 15% 공제율을 받아 30만 원을 공제받습니다.

 

 

위의 예시를 볼 때, 저소득층은 소득공제보다 세액공제가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2015년 정부는 과세형평성을 높이고, 저소득층의 세금을 줄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연말정산 일부 항목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이상으로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