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연말정산 공제혜택 금융상품 추천

by 쏭잉차 2023. 9. 15.
반응형

연말정산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융 상품을 추천해드리려고 합니다.

 

 

아래 금융 상품을 활용하면 연말정산 때 세금을 돌려받는데 유용하므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썸네일
출처: 맘마이마 월급 재테크 실천법

 

 

엔젤투자

엔젤투자란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인들이 벤처기업에 투자하면 주식으로 그 대가를 받는 방식입니다. 직접 벤처기업을 발굴해서 투자하거나 개인투자조합에 가입해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엔젤투자는 투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엔젤투자의 소득공제율은 3,000만 원 이하분은 100%, 3,000만 원 초과 5,000만 원 이하분은 70%, 5,000만 원 초과분은 30%입니다.

 

단, 기술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은 벤처기업 중 창업한 지 3년 이내인 기업, 온라인 소액 투자중개의 방법으로 모집하는 벤처기업은 창업한 지 7년 이내의 중소기업 등에 대해서만 소득공제혜택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 망할 경우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공공, 민영 주택 청약이 가능한 통장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나이와 세대주 상관없이 누구나 1인 1계좌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총급여가 7,000만 원 이하이면서 무주택 세대주는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의 40%(최대 96만 원)를 공제한도 연 240만 원 이내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연금저축은 계약기간 완료 후 만 55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2015년부터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전환되었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차이점 알아보기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세금을 절감해 주는 방법에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소득공제란? 소득공제란 오랫동안 해온

ingcha-95.tistory.com

 

연금저축은 연간 납입한도가 1,800만 원이며 납입기간은 5년 이상입니다. 연간 납입금액의 12%를 공제하며 연 400만 원(만 50세 이내) 이내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총급여가 5,5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세액공제율이 15%입니다.

 

연금저축을 중도해지하면 해지가산세, 소득세 등이 부과됩니다.

 

 

보장성보험

보장성보험은 사망, 상해, 질병 등을 보장해 주면서 만기 시 원금보다 적은 금액을 돌려주는 상품입니다. 보장성보험은 2015년부터 세액공제로 전환되었으며, 지출한 보험료의 12%를 공제받을 수 있으며, 연간 최대 공제 금액은 100만 원입니다.

 

장애인용 보장성보험 공제율은 15%이며, 일반 보장성보험과 연간 공제 금액이 동일합니다.

 

단, 만기 때 원금을 돌려받는 저축성보험은 세액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이상으로 연말정산 때 공제 혜택을 볼 수 있는 금융상품을 소개해드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