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밸류업 ETF를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 출시된 액티브 ETF와 패시브 ETF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밸류업 지수란?
밸류업 지수란 정부와 한국거래소가 한국 주시식시장에서 저평가받았던 기업들의 가치를 재평가해서 발표한 지수입니다.
기업의 투명 경영, 경영효율성 개선, 주주환원 등에 적극적인 기업들의 가치를 제고하여 높게 평가해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코리안 밸류업 지수를 반영한 ETF가 최근 출시 되었습니다.
밸류업 ETF
밸류업 ETF는 총 12종으로 밸류업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ETF'와 펀드 매니저가 편입 종목을 선택하는 '액티브 ETF'가 있습니다.
그러면 패시브 ETF와 액티브 ETF의 편입 종목 차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패시브 ETF
: 패시브 ETF는 '삼성, 미래, KB, 한투, 신한, 키움, 한화, NH, 하나'에서 출시해서 총 9종입니다.
구성 종목 및 비중은 자산운용사마다 같습니다.
종목 | 비중 |
SK하이닉스 | 16.87% |
삼성전자 | 11.63% |
현대차 | 6.97% |
셀트리온 | 6.37% |
신한지주 | 6.07% |
기아 | 5.66% |
고려아연 | 3.22%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3.05% |
우리금융지주 | 2.64% |
삼성화재 | 2.58% |
KT&G | 2.53% |
메리츠금융지주 | 2.36% |
HD현대일렉트릭 | 1.72% |
대한항공 | 1.49% |
HMM | 1.33% |
다만, 자산 규모와 운용 보수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신탁원본액은 미래에셋자산(Tiger)이 2040억 원으로 가장 크고, 운용 보수는 KB 증권(RISE)이 0.008%로 가장 저렴합니다.
패시브 ETF는 퇴직연금과 연금저축펀드에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한다면 운용보수가 낮은 상품이 매력적입니다.
2. 액티브 ETF
: 액티브 ETF는 타임폴리오, 삼성액티브, 트러스톤에서 출시했습니다.
자산 규모는 삼성액티브(336억 원), 트러스톤(99억 원), 타임폴리오(89억 원) 순으로 크며, 총보수는 삼성액티브(0.5%)가 가장 저렴합니다.
다만, 자산운용사별로 구성종목은 다릅니다.
삼성액티브는 38개 종목을 담고 있으며, 상위 5개 종목 비중은 35.41%입니다. SK하이닉스(11.03%), 현대차(8.32%), 삼성전자(7.65%), KB금융(4.44%), 기아(3.97%)를 포함해 하나금융지주, 삼양식품, 셀트리온, HD현대일레트릭, 키움증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트러스톤은 46개를 담고 있고, 상위 5개 종목 비중은 27.52%입니다. 다른 액티브 ETF에 비해 한 기업으로 쏠림 현상 없이 각 종목별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KB금융, 현대차2우B,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삼성카드, 신한지주, 삼성화재우, 키움증권, CJ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타임폴리오는 39개의 종목이 담겨 있고, 상위 5개 비중이 43.72%입니다. SK 하이닉스(15.72%), 삼성전자(8.77%), 현대차(7.13%), 신한지주(6.33%), 기아(5.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셀트리온, 메리츠금융지주, HD현대일렉트릭, 고려아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볼 때 밸류업 지수에 포함된 종목 외에 각 자산운용사별로 투자 전략에 따라 지수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종목에도 투자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밸류업 ETF의 전망
밸류업 ETF의 전망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밸류업 지수에 포함된 종목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지적과 중국의 강력한 밸류업 정책을 시행으로 투자 자금이 중국으로 쏠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한편, 우량주가 지수에 많이 편입되어 있어서 장기 투자에 유리하다는 관점과 거래소가 종목 리밸런싱을 하여 밸류업 지수의 신뢰도를 높인다는 긍정적인 시각이 있습니다. 종목의 편출입에 따라 ETF의 가격 변동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 상장한 밸류업 ETF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투자 가치가 있을지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밸류업 지수를 긍정적으로 보고 투자하고 싶다면 패시브 ETF에 먼저 투자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 ETFvsS&P500 동일가중 ETF 수익률 특징 비교 (4) | 2024.10.30 |
---|---|
금리 인하 수혜주 알아보기 (0) | 2024.08.01 |
2024년 8월 공모주 청약 일정 (1) | 2024.07.25 |
계절에 따른 테마주 알아보기 (0) | 2024.07.19 |
배당주 투자 꿀팁(ft. 배당금 절세) (0) | 2024.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