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ETF와 S&P500 동일가중 ETF의 수익률 및 특징을 비교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S&P500 ETF VS S&P500 동일가중 ETF
기존 S&P500 ETF는 시장 가치 가중 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수를 구성하는 각 종목의 시가총액 비율에 따라 투자 비중이 정해지기 때문에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에 더 많은 비중이 할당됩니다.
매그니피센트 7로 불리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등 빅테크 섹터 비중이 30% 넘게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 합이 37%로 높습니다.
이와 달리 S&P500 동일가중 ETF는 S&P500 지수를 추종하지만, 지수를 구성하는 각 종목에 동일한 비중을 부여한 상품입니다.
국내에 최초로 상장한 Tiger S&P500 동일 가중 ETF는 모든 종목에 대해 0.2%씩 동일 비중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S&P500 동일가중 ETF의 장점
S&P500 동일가중 ETF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1.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 전통적인 S&P500 ETF는 특정 섹터에 비중이 높아서 대형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동일 가중 ETF는 각 종목에 동일한 비중을 부여해서 업종 쏠림을 완화해 줍니다. 또한, 연 4회 분기별 리밸런싱 해서 투자자가 따로 저가 매수, 차익 실현을 하지 않아도 성과가 양호할 것으로 보입니다.
2. 금리 인하 사이클에 유리
: 동일 가중 방식은 중소형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금리 인하 사이클에 성과가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소형주가 금리 인하 혜택을 보기 때문에 전통적인 S&P500보다 성과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3. 낮은 변동성
: 동일가중 ETF는 종목별 비중 편차가 적기 때문에 변동성이 낮습니다. 전통적인 S&P500은 몇 개의 빅테크 기업들의 비중이 큰데, 빅테크 기업은 수익성이 높은 만큼 변동성 또한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특정 종목에 대한 부담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iger& S&P500 VS Tiger S&P500 동일가중 비교
전통적인 S&P500 ETF와 동일 가중 ETF의 총 보수와 수익률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S&P500 ETF는 실비용은 0.1791%이고, 동일가중 ETF는 0.3329%입니다. 동일가중 ETF가 리밸런싱을 해주기 때문에 보수가 더 비싼 것으로 보입니다.
Tiger S&P500 동일가중 ETF는 24년 7월 23일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수익률이나 분배율을 아직 판단하기는 이르고, 최소 1년 이상은 지나 봐야 전통적인 S&P500과 수익률면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개월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전통적인 S&P500은 7.11%, 동일가중은 5.37% 성과가 있습니다.
S&P500과 동일가중 ETF 투자 비율은?
전통적인 S&P500은 대형주의 비중이 큰 만큼 수익률이 더 높습니다. 이에 비해 동일가중은 변동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죠.
그래서 전문가들은 '7대 3 전략'을 제시합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통적인 S&P500과 동일가중 ETF를 섞어서 투자하는 것이 더 수익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미국 S&P500에만 투자하기에는 금리 인하 시기나 중소형 주가가 좋을 때 아쉽고, 동일가중 ETF에만 투자하자니 빅테크 기업들이 잘 나갈 때 높은 수익을 얻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익성을 고려하면서도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싶다면 S&P500을 7의 비율로, 동일 가중 ETF에 3의 비율로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아 밸류업 ETF 비교(액티브 VS 패시브) 전망 (1) | 2024.11.08 |
---|---|
금리 인하 수혜주 알아보기 (0) | 2024.08.01 |
2024년 8월 공모주 청약 일정 (1) | 2024.07.25 |
계절에 따른 테마주 알아보기 (0) | 2024.07.19 |
배당주 투자 꿀팁(ft. 배당금 절세) (0) | 2024.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