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ISA 계좌 만기 후 재가입 vs 5년 연장

by 쏭잉차 2024. 5. 2.
반응형

ISA 계좌 만기 후 재가입이 유리한 지 5년 연장이 유리한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썸네일

 

ISA 계좌 만기와 한도

ISA 계좌의 만기는 3년입니다. 최소 3년을 유지해야 비과세와 과세분리(9.9%)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형은 통산손익(이자+배당소득)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기준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 저율 과세로 분리되어 적용됩니다.

 

ISA 계좌는 1년에 납입 가능한 금액은 최대 2천만 원이며, 올해 채우지 못한 한도는 내년으로 이월됩니다. 예를 들어, ISA 계좌를 만든 지 2년이 되었고, 납입한 금액이 없다면 올해는 총 6천만 원(3년*2천만 원)을 납입할 수 있답니다.

ISA 계좌 만기 후 재가입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ISA 계좌 재가입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ISA 계좌 통산손익 (수익+손실)비과세 한도(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를 넘는다면, 즉 수익이 많다면 만기 후 해지하고 재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ISA 계좌는 만기일에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수익이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면 재가입하는 편이 낫습니다.

ISA 계좌 5년 연장

이번에는 ISA 계좌를 5년 연장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이 늘어난 경우(서민형 해당)

: ISA서민형은 근로소득이 연간 5,000만 원, 종합소득이 3,800만 원이 넘지 않으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서민형은 일반형에 비해 세제 혜택이 큽니다. 서민형은 통산손익이 400만 원으로 일반형보다 비과세 한도가 200만 원 더 많습니다.

 

그런데 만약 재가입하는 시기에 소득이 늘었다면, 서민형으로 가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늘었다면 5년 연장하는 게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가입 시기에 근로 소득이 4,500만 원이라서 서민형으로 가입했는데, 3년 기간 내에 소득이 5,100만 원이 되었다고 해도 가입기간에는 서민형으로 유지됩니다.

2. ISA 계좌 손실이 큰 경우

: ISA  계좌 손실이 수익보다 크다면 5년 연장해서 투자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3. 장기투자를 생각한 경우

: ISA 계좌는 5년까지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투자를 생각한 경우 연장하는 것도 좋습니다. 5년간 납입한도가 총 1억이기 때문에 납입한도를 최대한 채워서 세제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