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K-패스 의미 사용처 발급 방법 알뜰교통카드 전환 방법

by 쏭잉차 2024. 4. 14.
반응형

K-패스 의미, 사용처, 발급 방법, 알뜰교통카드 전환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썸네일

 

K-패스란?

K-패스란 알뜰교통카드를 개선하여 교통비를 보다 폭넓게 환급해 주는 정부 주도 정책입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를 기록하고, 기준에 따라서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K-패스는 조건 없이 정률에 따라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습니다.

 

일반은 20%, 청년(만 19~34세)은 30%, 저소득층은 53%까지 적립할 수 있습니다.

 

단, 최소 월 15회 이상 사용해야 하며, 최대 월 60회 사용분까지 적립됩니다. 그 달에 적립한 마일리지는 다음 달에 돌려받게 됩니다.

K-패스 사용처

K-패스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189개 지자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구수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는 제외됩니다. 

 

시내버스, 지하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광역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쓸 수 있습니다.

K-패스 발급방법

K-패스 교통카드는 5월부터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 11개 카드사(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 국민, NH 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 유페이)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카드 신청 후, K-패스 회원가입을 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전환 방법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회원 전환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알뜰교통카드가 K-패스로 전환되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 전환은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K-패스 회원 전환하기
출처: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기후동행카드 VS K-패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안에서 주로 이동하고, 60회 이상 사용한다면 유리한 카드입니다. 반면, 서울/경기권을 오가거나 출퇴근한다면 K-패스가 더 유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