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우량한 저축은행 찾는 방법 저축은행 안전성 파악하기

by 쏭잉차 2023. 7. 8.
반응형

우량한 저축은행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썸네일
참고: 맘마이마 월급 재테크 실천법

 

 

 

저축은행 금리가 높은 이유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많은 고객들이 한 푼이라도 더 많은 이자를 받기 위해 저축은행 상품을 가입합니다.

 

저축은행 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이용해서 많은 돈을 예치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저축은행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준다는 것에는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습니다. 즉, 고객들은 높은 이자를 받는 대신 위험성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죠.

 

따라서, 경영이 건전하고 탄탄한 우량 저축은행에 가입해야 합니다. 우량한 저축은행을 찾는 방법은 아래에서 소개하겠습니다.

 

 

 

 

88클럽 지표 확인하기

88 클럽 지표란 BIS자기자본비율이 8% 이상이며,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 이하인 저축은행을 말합니다. 

 

  • BIS자기자본비율: 국제결제은행이 정한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입니다. 최소 8% 이상 유지해야 하며, 높을수록 안전합니다.

 

  • 고정이하여신비율: 은행이 빌려주는 돈 중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비율이 낮을수록 은행 자산건전성이 높습니다.

 

BIS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저축은행중앙회의 '경영공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영공시에 들어가면 저축은행 리스트가 나옵니다. 해당 저축은행을 클릭하면 '요약 경영공시'를 확인할 수 있는데, 기타에서 BIS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S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지표
출처: 한국투자 저축은행

 

 

 

 

 

자기자본비율과 당기순이익 파악하기

BIS자기자본비율은 절대적인 지표는 아닙니다. 저축은행에서 후순위채권을 발행하게 되면 부채가 줄어들고, BIS자기자본비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후순위채권은 기업 망할 경우 다른 채권자의 부채를 청산한 후 그다음에 갚아도 되는 채권입니다. 후순위채권은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부채가 아닌 보완자본으로 인정받습니다. 

 

따라서 부채 성격이 있는 후순위채권을 보완자본으로 인정하지 않는 '자기자본비율'을 따져봐야 합니다. 자기자본비율이 5% 이상이 돼야 안정적이라고 판단합니다.

 

자기자본비율이란 총 자산 중 자기 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자기자본비율이 높을수록 돈을 빌리지 않고 은행을 경영할 수 있기 때문에 재무구조가 탄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비율은 해당저축은행 홈페이지에서 경영공시에서 '경영공시자료'를 다운 받아 <경영실적- 자본적정성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비율 지표
출처: 한국투자 은행

 

 

당기순이익은 은행의 일정기간 순이익으로 은행이 번 돈에서 각종 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입니다. 당기순이익이 과거 3년 이상 냈는지 확인하면 좋습니다.

 

 

 

 

 

대출 포트폴리오와 PF 대출 규모 확인하기

저축은행 대출 포트폴리오를 통해 대출을 분산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한 군데만 돈을 빌려준 저축은행보다 소액대출, 채권, 해외사업 등 다양한 곳에 돈을 빌려준 저축은행이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부동산 PF 대출이 20% 이상 넘어가는 저축은행은 위험성이 큰 편입니다. PF 대출이란 자금조달의 기초를 신용담보에 두지 않고, 프로젝트 자체의 경제성을 보고 돈을 빌려주는 것입니다. 

 

PF 대출 규모는 해당저축은행 홈페이지에서 경영공시에서 '경영공시자료'를 다운 받아 <재무상황-대출금운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PF 대출 지표
출처: 한국투자 은행

 

 

 

 

지점수와 자산규모 확인하기

지점수가 많을수록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자산규모가 클수록 안정적으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점수는 저축은행중앙회 '경영공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영공시를 누르면 저축은행 리스트가 나오는데, 해당 저축은행을 클릭하면 '요약경영공시'가 나옵니다. 

 

지점수와 자산규모는 요약 경영공시에서 '영업개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점수와 자산규모 확인하기
출처: 한국투자 은행

 


이상으로 우량 저축 은행을 찾는 다양한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복잡하지만 소중한 돈을 맡기기 전에 여러 지표를 따지며 안전하게 보관하시면 좋겠습니다.

 

 

저축은행에 안전하게 돈 맡기는 방법

저축은행에 안전하게 돈 맡기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높은 이자 때문에 저축은행에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지만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계시죠? 2천만 원 이내로 분산하기 저축은행도

ingcha-95.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