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에 안전하게 돈 맡기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높은 이자 때문에 저축은행에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지만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계시죠?
2천만 원 이내로 분산하기
저축은행도 시중은행과 동일하게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최대 5천만 원까지 예금자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축은행이 부도나거나 문제가 생긴 경우, 정상화가 바로 되지 않거나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나 매각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보통 3개월 이후에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5천만 원까지 보장은 되지만 돈을 돌려받기 전까지 정신적 스트레스와 마음고생은 심하겠죠? 또한, 목돈이 몇 달 동안 묶여 있어 추가 수익을 얻지 못합니다.
이런 상황을 대비하여 목돈을 2천만 원씩 쪼개서 다른 저축은행에 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지급금 신청'을 통해서 돈을 보다 빠르게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지급금은 1인당 최대 2천만 원까지 지급되며, 5천만 원 초과금액은 원금의 40%(최대 5천만 원)까지 지급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을 함께 이용하기
시중은행은 저축은행보다 금리는 낮지만 안정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축은행에만 돈을 넣지 말고, 시중은행과 분산하는 것이 수익성과 안정성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천만 원이 있다면 5:3:2 비율로 A 시중은행 2천5백만 원, B 저축은행 1천5백만 원, C 저축은행 1천만 원으로 쪼개서 저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분산해서 저축하게 되면 긴급하게 돈이 필요하게 될 경우 필요한 만큼만 중도해지를 하고 나머지 예적금은 만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저축은행에 안전하게 돈 맡기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우량한 저축은행 찾는 방법 저축은행 안전성 파악하기
우량한 저축은행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축은행 금리가 높은 이유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많은 고객들이 한 푼이라도 더 많은 이자를 받기 위해 저축은행 상
ingcha-95.tistory.com
'경제 >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별 환전 우대율 비교 알뜰하게 환전하기 (0) | 2023.07.12 |
---|---|
환전 잘하는 방법 해외 신용 카드 사용 꿀팁 (0) | 2023.07.11 |
우량한 저축은행 찾는 방법 저축은행 안전성 파악하기 (0) | 2023.07.08 |
은행 예적금 중도 해지 손해를 줄이는 방법 (0) | 2023.07.04 |
자동차세 연납하는 방법(세금 절약하기) (0) | 2023.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