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대상, 이자(금리), 연말소득공제, 적립금액, 청약 가능 면적 및 순위 등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내 집 마련을 위해서라면 꼭 가입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으로 나뉘어 있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상품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있으면 LH가 대표적인 국민주택 청약 신청과 민간 건설사(현대건설, 삼성물산 등)가 공급하는 민영주택에 모두 청약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적금형식이나 일시예치식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즉, 매달 납입해도 되고 여유가 없다면 나중에 미납한 회차를 한꺼번에 납입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예금자보호법과 금융소비자보호법 제외 상품이며, 비과세종합저축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대상은 국민인 개인(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 포함)과 외국인 거주자를 포함합니다. 국민인 거주자는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재외동포는 국내거소 신고증, 외국인은 외국인 등록증이 있으면 간단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금액은 매월 2만 원 ~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10원 단위까지 납입가능합니다. 잔액이 1,500만 원 미만인 경우 월 50만 원을 초과해서 잔액 1,500만 원까지 한 번에 납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잔액이 1,500만 원 이상이라면 월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국민주택청약을 고려하고 있다면 매달 10만 원씩 납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국민주택 일반공급은 납입인정 금액이 많은 순서대로 청약 당첨자를 선발하기 때문입니다. 한 달에 해당하는 1회 차 기준으로 최대 납입 인정 금액은 10만 원입니다.
예를 들어, 한 번에 50만 원을 넣어도 인정금액은 10만 원이 됩니다. 50만 원을 한 번에 넣지 말고 10만 원씩 5번씩 넣어야 납입인정 금액이 5회로 인정됩니다.
반면 납입금액이 2만 원인 경우는 인정금액은 2만 원입니다. 2만 원씩 5번을 넣어야 1회 인정 금액이 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자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개월 이내 | 1개월 초과 ~ 1년 미만 | 1년 이상 ~ 2년 미만 | 2년 이상 |
무이자 | 연 1.3% | 연 1.8% | 연 2.1% |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정부의 고시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금리가 변경될 경우 각 납부 회차별 변경일 기준으로 변경된 금리가 적용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가장 큰 혜택 중 하나는 소득공제입니다.
대상자 | 총 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
소득공제 조건 | 과세연도의 다음연도 2월말 까지 은행에 무주택 확인서를 제출해야 함 |
소득공제 한도 | 연간 240만 원 이하 납입액에 대한 40%(96만원) |
단,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한 지 5년 이내에 해지한 경우, 국민주택규모(85㎡)를 초과하는 주택에 당첨된 경우에는 추징대상이 됩니다.
청약가능 전용면적
민영주택 청약 예치금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만 원)
주택 전용면적 | 지역 | ||
특별시 및 부산광역시 | 그 밖의 광역시 | 특별시 및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 |
85제곱미터 이하 | 300 | 250 | 200 |
102제곱미터 이하 | 600 | 400 | 300 |
135제곱미터 이하 | 1,000 | 700 | 400 |
모든 면적 | 1,500 | 1,000 | 500 |
국민주택 청약 순위 기준
일반공급은 납입인정금액이 가장 많은 순서로 청약 당첨자를 선발합니다.
만약 정해진 날짜에 납입을 하지 못하면 지연일수가 적용되어 청약 순위에서 밀릴 수 있습니다. 미리 납입하는 경우 횟수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청약통장 가입일이 17일인 경우 매월 17일에 납입해야 1회 차로 인정됩니다.
또한, 한번 납부한 금액은 정정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한 회차 때 2만 원을 납입하고 추후 금액을 더 넣어 10만 원으로 정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납부일자에 지켜서 매달 10만 원씩 넣어야 청약 시 유리합니다.
이상으로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관한 정보를 알려드렸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내 집 마련을 위해 청약을 넣을 때도 필요하지만, 연말 소득공제 혜택이 커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더불어 은행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니 비교하셔서 가입하는 것 잊지 마세요!
'경제 >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포인트제 에코마일리지로 인센티브 받는 방법(현금화) (0) | 2023.06.02 |
---|---|
온누리상품권 활용해 생활비 절약하는 5가지 꿀팁 특징 구매 절차 (0) | 2023.06.01 |
복리통장 효과 만드는 방법 (선납이연, 정기예금 & 정기적금, 자유적금 활용) (0) | 2023.05.30 |
S-OIL(에스 오일) 주유 포인트 현금화하는 방법 (1) | 2023.05.29 |
가정에서 전기 요금 아끼는 꿀팁 7가지 (전기 요금 절약하는 방법) (2) | 2023.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