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짠테크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 금리 조건 비교

by 쏭잉차 2023. 6. 17.
반응형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제공하는 우대 금리 조건이 달라서 정리해 봤습니다. 주요 시중 은행별 기본 금리는 4.5%로 동일합니다. 따라서 우대 금리 조건이 더 좋은 곳으로 가야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썸네일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 금리 조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소득 우대 금리(0.5%)를 제외하면 최대 금리는 5.5%입니다.

 

 

주요 시중 은행 우대 금리 조건 비교

주요 시중 은행(IBK 기업은행, KB 국민 은행, NH 농협 은행, 하나 은행, 신한 은행)의 기본 금리는 4.5%이며, 우대 금리 최대 1.0%입니다.

 

소득 우대 금리(0.5%)는 제외하고 비교했습니다.

 

 

1. IBK 기업은행 

 

  • 급여통장 (0.5%): 급여, 월급, 상여금 등의 용어로 월 50만 원 이상이 입금되어야 합니다. 급여이체 일자를 지정하고, 등록한 일자 앞뒤로 3 영업일(총 7 영업일) 이내에 월 50만 원이 임급 되면 됩니다.

 

  • 신규 가입(0.3%) : 청년도야계좌 가입 시점 최초 신규 고객에 해당해야 합니다. 실명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가입일 직전월 기준 6개월간 예금과 적금 평균잔액이 0원이어야 합니다.

 

  •  지로, 공과금 자동이체 실적(0.2%) : 아파트 관리비, 지로, CMS, 펌뱅킹 등을 자동이체(월 2건 이상) 36개월 이상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2%) : 신용(체크) 카드 이용실적이 연평균 200만 원 이상이 되어야 하며 만기시점까지 카드를 보유해야 합니다. (현금서비스는 제외)

 

  • 마케팅 수신 동의(0.1%) : 가입할 때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 수신에 동의해야 합니다.

 

 

 

2. KB 국민은행

 

  • 급여통장(0.6%):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이어야 합니다. 본인을 제외한 개인사업자, 법인, 타인 등의 이름으로 월 50만 원 이상이 입금되면 됩니다. 

 

  • 자동이체 실적(0.3%) :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월 2건 이상의 공과금 자동이체가 월수 36회 이상이 되거나 KB Live M 청년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이체 출금 월수가 36회 이상 되면 됩니다. 

 

  • 거래 감사(0.1%):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고객이거나 KB 청년희망적금 만지 해지 고객이 해당합니다.

 

 

 

 

3. NH 농협은행

 

  • 급여통장(최대 0.5%) : 상품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 실적이 12개월(0.1% p), 36개월(0.3% p), 50개월 이상(0.5% p)이 되어야 합니다. 월별 50만 원 이상이 입금되면 됩니다.

 

  • 카드 실적(0.2%) : 만기 전전월까지 NH농협개인신용, 체크카드(채움) 이용 실적이 월평균 20만 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현금서비스 제외)

 

  • 거래 감사(0.1%): 가입 직전 1년 간 농협은행 예적금(주택청약 포함)을 보유하지 않은 신규 고객이거나 NH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이 해당합니다.

 

  • 마케팅 수신 동의(0.2%) : 가입할 때 상품서비스 안내 동의를 해야 합니다. 

 

 

 

4. 신한은행

 

  • 급여 통장(0.3%) : 본인 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3%) : 본인 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신규 고객(0.4%) : 가입 직전 1년 간 신한은행 정기예금, 정기적금, 주택청약이 없어야 합니다. 

 

 

5. 우리 은행

 

  • 급여통장(1%)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월 50만원 이상 급여가 이체되어야 합니다. 적금 가입월부터 전전월까지 가입 기간의 1/2이상 되어야 합니다.

 

  • 신규 고객(0.5%) : 가입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정기예금 및 적금을 보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를 통해서 우리카드(신용, 체크) 결제 실적(월 10만원 이상, 적금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가입기나의 1/2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6. 하나은행

 

  •  급여통장(0.6%) : 상품 가입 후 만기 전전월말까지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으로 월 50만원 이상 36회이상 급여가 입금되면 됩니다. 월 1회 인정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2%) : 상품 가입 후 만기 전전월말까지 월 10만원 이상 하나카드(신용, 체크)를 사용하고, 본인명의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을 통해 36회 이상 납부해야 합니다.

 

  • 마케팅 수신 동의(0.1%) : 가입 전에 상품, 서비스 마케팅 동의 항목에 모두 동의해야 합니다.

 

 

 

 

대구, 부산, 경남 은행 우대 금리 조건 비교

대구, 부산, 경남은행은 기본 금리가 4%이며, 우대 금리는 최대 1.5%입니다.

 

 

 

1. 경남은행

 

  • 급여통장(0.7%) : 상품 가입기간의 1/2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나 가맹점 결제대금 입금 실적이 있으면 됩니다.

 

  • 기존 고객(0.4%) : 상품 가입 시점 때 주택청약종합저축(청년우대형 포함)을 보유하고 있으면 됩니다.

 

  • 신규 고객(0.4%) : 상품 가입일 기준으로 직전 1년간 해당 은행 거치식/적립식 예금(주택청약저축)을 미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2. 부산은행

 

  • 신규 고객(0.5%) : 3년 이내 예적금 가입이력이 없어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가입기간 중 당행 BC카드(신용, 체크) 이용 실적이 5백만 원 이상 되어야 합니다.

 

  • 급여통장(0.5%) : 가입기간 중 30개월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3. 대구 은행

 

  • 마케팅 동의(0.3%) : 마케팅 전체 동의를 해야 합니다.

 

  • 자동납부(0.7%) : 가입기간 동안 30회 이상 당행 계좌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자동납부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주택청약(0.5%) : 가입시점 때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전북, 광주은행

전북, 광주은행은 기본 금리가 3.8%이고 우대 금리는 최대 1.7%입니다.

 

 

1. 전북은행

 

  • 급여 통장(0.7%) :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월 50만 원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기간의 1/2 이상 신용, 체크카드 이용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월 1회 인정) 본인명의로 된 당행 통장으로 납부해야 합니다.(현금서비스 제외)

 

  • 자동이체(0.5%) :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당행 계좌로 청년도약계좌에 자동이체 해야 합니다.

 

  • 마케팅 수신 동의(0.2%) : 가입할 때 개인 상품서비스 안내수단에 전체 동의해야 합니다.

 

 

 

 

2. 광주은행

 

  • 첫 거래(0.5%) : 상품 가입 직전 1년 동안 해당 은행 정기예금/적금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신규 고객이 해당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당행 신용(체크) 카드 사용 금액이 5백만 원 이상인 경우

 

  • 급여 통장(0.5%) :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월 50만 원 이상 30회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만기 축하(0.2%) : 만기해지 시 해지원금이 3천만 원 이상이면 됩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 금리를 알려드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