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제공하는 우대 금리 조건이 달라서 정리해 봤습니다. 주요 시중 은행별 기본 금리는 4.5%로 동일합니다. 따라서 우대 금리 조건이 더 좋은 곳으로 가야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소득 우대 금리(0.5%)를 제외하면 최대 금리는 5.5%입니다.
주요 시중 은행 우대 금리 조건 비교
주요 시중 은행(IBK 기업은행, KB 국민 은행, NH 농협 은행, 하나 은행, 신한 은행)의 기본 금리는 4.5%이며, 우대 금리 최대 1.0%입니다.
소득 우대 금리(0.5%)는 제외하고 비교했습니다.
1. IBK 기업은행
- 급여통장 (0.5%): 급여, 월급, 상여금 등의 용어로 월 50만 원 이상이 입금되어야 합니다. 급여이체 일자를 지정하고, 등록한 일자 앞뒤로 3 영업일(총 7 영업일) 이내에 월 50만 원이 임급 되면 됩니다.
- 신규 가입(0.3%) : 청년도야계좌 가입 시점 최초 신규 고객에 해당해야 합니다. 실명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가입일 직전월 기준 6개월간 예금과 적금 평균잔액이 0원이어야 합니다.
- 지로, 공과금 자동이체 실적(0.2%) : 아파트 관리비, 지로, CMS, 펌뱅킹 등을 자동이체(월 2건 이상) 36개월 이상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2%) : 신용(체크) 카드 이용실적이 연평균 200만 원 이상이 되어야 하며 만기시점까지 카드를 보유해야 합니다. (현금서비스는 제외)
- 마케팅 수신 동의(0.1%) : 가입할 때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 수신에 동의해야 합니다.
2. KB 국민은행
- 급여통장(0.6%):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이어야 합니다. 본인을 제외한 개인사업자, 법인, 타인 등의 이름으로 월 50만 원 이상이 입금되면 됩니다.
- 자동이체 실적(0.3%) :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월 2건 이상의 공과금 자동이체가 월수 36회 이상이 되거나 KB Live M 청년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이체 출금 월수가 36회 이상 되면 됩니다.
- 거래 감사(0.1%):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고객이거나 KB 청년희망적금 만지 해지 고객이 해당합니다.
3. NH 농협은행
- 급여통장(최대 0.5%) : 상품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 실적이 12개월(0.1% p), 36개월(0.3% p), 50개월 이상(0.5% p)이 되어야 합니다. 월별 50만 원 이상이 입금되면 됩니다.
- 카드 실적(0.2%) : 만기 전전월까지 NH농협개인신용, 체크카드(채움) 이용 실적이 월평균 20만 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현금서비스 제외)
- 거래 감사(0.1%): 가입 직전 1년 간 농협은행 예적금(주택청약 포함)을 보유하지 않은 신규 고객이거나 NH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이 해당합니다.
- 마케팅 수신 동의(0.2%) : 가입할 때 상품서비스 안내 동의를 해야 합니다.
4. 신한은행
- 급여 통장(0.3%) : 본인 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3%) : 본인 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신규 고객(0.4%) : 가입 직전 1년 간 신한은행 정기예금, 정기적금, 주택청약이 없어야 합니다.
5. 우리 은행
- 급여통장(1%)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월 50만원 이상 급여가 이체되어야 합니다. 적금 가입월부터 전전월까지 가입 기간의 1/2이상 되어야 합니다.
- 신규 고객(0.5%) : 가입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정기예금 및 적금을 보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를 통해서 우리카드(신용, 체크) 결제 실적(월 10만원 이상, 적금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가입기나의 1/2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6. 하나은행
- 급여통장(0.6%) : 상품 가입 후 만기 전전월말까지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으로 월 50만원 이상 36회이상 급여가 입금되면 됩니다. 월 1회 인정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2%) : 상품 가입 후 만기 전전월말까지 월 10만원 이상 하나카드(신용, 체크)를 사용하고, 본인명의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을 통해 36회 이상 납부해야 합니다.
- 마케팅 수신 동의(0.1%) : 가입 전에 상품, 서비스 마케팅 동의 항목에 모두 동의해야 합니다.
대구, 부산, 경남 은행 우대 금리 조건 비교
대구, 부산, 경남은행은 기본 금리가 4%이며, 우대 금리는 최대 1.5%입니다.
1. 경남은행
- 급여통장(0.7%) : 상품 가입기간의 1/2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나 가맹점 결제대금 입금 실적이 있으면 됩니다.
- 기존 고객(0.4%) : 상품 가입 시점 때 주택청약종합저축(청년우대형 포함)을 보유하고 있으면 됩니다.
- 신규 고객(0.4%) : 상품 가입일 기준으로 직전 1년간 해당 은행 거치식/적립식 예금(주택청약저축)을 미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2. 부산은행
- 신규 고객(0.5%) : 3년 이내 예적금 가입이력이 없어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가입기간 중 당행 BC카드(신용, 체크) 이용 실적이 5백만 원 이상 되어야 합니다.
- 급여통장(0.5%) : 가입기간 중 30개월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3. 대구 은행
- 마케팅 동의(0.3%) : 마케팅 전체 동의를 해야 합니다.
- 자동납부(0.7%) : 가입기간 동안 30회 이상 당행 계좌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자동납부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주택청약(0.5%) : 가입시점 때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전북, 광주은행
전북, 광주은행은 기본 금리가 3.8%이고 우대 금리는 최대 1.7%입니다.
1. 전북은행
- 급여 통장(0.7%) : 가입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월 50만 원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기간의 1/2 이상 신용, 체크카드 이용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월 1회 인정) 본인명의로 된 당행 통장으로 납부해야 합니다.(현금서비스 제외)
- 자동이체(0.5%) :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계약 기간의 1/2 이상 당행 계좌로 청년도약계좌에 자동이체 해야 합니다.
- 마케팅 수신 동의(0.2%) : 가입할 때 개인 상품서비스 안내수단에 전체 동의해야 합니다.
2. 광주은행
- 첫 거래(0.5%) : 상품 가입 직전 1년 동안 해당 은행 정기예금/적금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신규 고객이 해당됩니다.
- 카드 이용 실적(0.5%) : 가입일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당행 신용(체크) 카드 사용 금액이 5백만 원 이상인 경우
- 급여 통장(0.5%) : 가입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월 50만 원 이상 30회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 만기 축하(0.2%) : 만기해지 시 해지원금이 3천만 원 이상이면 됩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 금리를 알려드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 >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예적금 중도 해지 손해를 줄이는 방법 (0) | 2023.07.04 |
---|---|
자동차세 연납하는 방법(세금 절약하기) (0) | 2023.06.23 |
은행 이자 세금 줄이는 방법(비과세종합저축, 세금우대저축) (0) | 2023.06.16 |
환테크 의미 주의점 절차 외화 통장 추천 (0) | 2023.06.14 |
세관공매로 재테크 하는 방법(명품 저렴하게 구매하기) (0) | 2023.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