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부동산19 종합부동산세 의미 대상 세율 알아보기 종합부동산세 의미, 대상, 세율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다가오는 12월은 종합부동산세를 내는 달입니다. 집이나 땅이 있는데, 일정 금액을 넘어 납세자 대상이 된다면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합니다. 종합부동산세란? 종합부동산세는 1년에 1번, 매년 12월에 내는 세금입니다. 과세기준일은 6월 1일입니다. 다시 말해, 6월 1일은 기준으로 주택이나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 있고, 해당 주택이나 토지의 공시가격이 일정 금액을 넘는다면 종부세를 내야 하는 것입니다. 납부 대상자라면 11월에 납부 고지서를 받게 되며, 12월 1일~15일 사이에 납부하면 됩니다. 고지서는 우편으로 받을 수도 있고, 홈택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대상 종합부동산세는 세대별이 아니라 사람마다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유.. 2023. 11. 25. 중간에 올려준 전세보증금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 중간에 올려준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세 만기 시점에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올려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세사기 피해자가 많이 나오는 요즘, 올린 금액을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계약서를 새롭게 작성하기 중간에 올려준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으로 올린 금액을 포함하여 계약서를 새로 작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 전세보증금이 4억 5천만 원이고, 올려준 전세보증금이 5천만 원이라면 총 전세보증금은 5억 원입니다. 이런 경우 기존 계약서는 그대로 보관하고, 5억 원짜리 계약서를 다시 작성합니다. 특약에 'O년 O월 O일에 전세보증금을 4억 5천만 원에서 5천만 원 올려 5억 원에 다시 작성함'이라는 식으로 .. 2023. 10. 23. 전세금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 요즘 전세사기가 많이 발생하면서 전세 세입자들이 불안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세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전입신고, 확정일자 전세계약을 하고 잔금까지 치렀다면 곧바로 전세계약서를 들고 주민센터를 방문해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입신고란 주소지를 변경하고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고, 확정일자는 주민센터에서 전세계약을 체결한 날짜를 확인하고, 전세계약서에 찍어 주는 도장에 적힌 날짜입니다.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이사한 날 기준으로 14일 이내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미루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의 효력은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항력이란 집이 경매에 넘어가도 전세보증금을 받기 전에는 세입자.. 2023. 10. 20. 대출 상환방식 3가지(원금균등 원리금균등 만기일시상환) 알아보기 대출 상환방식 3가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대출 상환방식에 따라서 월부담금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금균등 분할상환 원금균등 분할상환이란 매월 원금을 균등하게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원금을 상환하기 때문에 월부담금이 가장 높습니다. 대신 이자를 적게 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리금균등 분할상환 원리금균등 분할상환은 매월 원금과 이자를 균등하게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선택하는 대출 상환방식입니다. 원금과 이자를 함께 내다보니 월부담금은 중간입니다. 만기일시상환 만기일시상환은 매우러 이자만 부담하다가 만기에 원금을 일시불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자만 내기 때문에 이자 부담이 가장 큽니다. 대신 월부담금이 가장 적은 편입니다. 대출상환 방.. 2023. 10. 19.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