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해외로 여행 다니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 해외 카드 사용 수수료 때문에 걱정되는 분들 계시죠?
환전 수수료 걱정 없이 해외 여행하는 꿀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DCC 차단 서비스 이용하기
해외에서 원화(KRW)로 결제해 본 적 계신가요?
원화로 결제하면 간편하긴 하지만 수수료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해외 가맹점에서 원화로 카드 결제를 하면 현지 통화를 원화로 환산해 결제하기 때문에 결제 금액의 3~8%를 수수료로 내야 합니다.
수수료 내역에는 환전수수료와 결제 수수료, 브랜드 사용로까지 포함되어 있어 해외여행 후 카드값이 생각보다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수료를 내지 않으려면 출국 전에 카드사를 통해 '해외원화결제(DCC) 차단 서비스를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DCC 차단 서비스를 사용하면 해외 가맹점에서 카드로 결제하면 현지통화로 결제되고, 나중에 환율을 적용하여 최종금액은 원화로 결제 대금을 지불하게 됩니다.
하지만 DCC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해도 신용카드 결제 시점이 아닌 3~5일 뒤의 전표매입 시점의 환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환전 수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편 결제 이용하기 환전 수수료 NO!
이러한 환전 수수료를 내지 않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등 스마트폰 간편 결제를 사용하게 되면 '결제 시점'의 환율을 적용받습니다.
그러나 간편 결제 서비스마다 사용할 수 있는 국가가 다르고, 매장 상황에 따라 간편 결제 사용이 불가한 곳도 있으니 여행 전에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각 간편 결제 서비스별 사용처 및 사용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네이버페이
네이버 페이는 중국과 일본을 여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리페이플러스나 유니온페이 로고가 있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네이버 페이 포인트 또는 직접 충전한 네이버페이 머니를 사용하면 됩니다.
매장에서 QR 코드를 제시하거나 매장에 비치된 QR 코드를 스캔해서 결제하는 방식 모두 가능합니다.
중국은 알리페이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어 대부분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고, 일본의 경우는 도쿄돔시티, 로프트, 토이저러스, 재팬택시 등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중국, 유럽 등 세계 47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가장 높습니다. 매장에 카카오페이나 알리페이플러스 로고가 붙어 있다면 카카오페이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앱에 계좌를 미리 연결하고 카카오페이 머니를 충전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매장에서 QR 코드를 촬영해 결제하거나 카카포페이 앱 내 결제 바코드를 제시하여 결제할 수 있습니다.
결제 내역은 카카오페이 또는 카카오톡 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지 통화뿐만 아니라 원화로도 결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 간편합니다.
토스페이
토스페이 또한 알리페이플러스가 붙어 있는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토스 앱 내에 있는 바코드나 QR 코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토스페이 탭에서 오른쪽 상단 바코드 아이콘을 누르면 '해외' 탭이 나옵니다. 전체 메뉴에서 '현장결제'를 검색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결제를 하면 토스페이에 연결해 둔 계좌에서 출금이 됩니다.
현재는 중국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일본, 마카오, 카타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컨택리스 카드 사용하기 환전 수수료 0원!
컨택리스 카드는 카드 결제기에 카드를 긁거나 꽂을 필요 없이 갖다 대기만 해도 결제되는 카드입니다.
해외에서 사용 가능한 신용 카드에는 대부분 와이파이 모양이 그려져 있는데, 와이파이 로고가 있는 카드가 바로 컨택리스 카드입니다.
컨택리스 카드는 단말기를 통한 카드 위조 위험이 적어 안전합니다.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홍콩, 싱가포르, 호주 등에서는 컨택리스 카드를 사용하여 대중교통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ISA 컨택리스 카드가 있다면 해외 대형마트, 편의점, 식당, 카페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 결제 수수료도 0원입니다.
이상으로 환전 수수료 걱정 없이 해외 여행하는 꿀팁을 알려드렸습니다. 참고하셔서 즐거운 여행되시길 바랍니다.
'경제 >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세액공제 종류1(근로소득 자녀 연금계좌) (0) | 2023.09.26 |
---|---|
연말정산 소득공제 종류2(주택마련저축공제 카드 공제) (0) | 2023.09.25 |
연말정산 소득공제 종류1(인적공제 연금보험료공제 특별소득공제) (1) | 2023.09.22 |
K-패스 기후동행카드 혜택 비교 (1) | 2023.09.21 |
연말정산 공제혜택 금융상품 추천 (0) | 2023.09.15 |
댓글